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 군이 최근 전방 부대 등에 설치된 CCTV 1300대를 철거했습니다. <br> <br>중국 악성코드에 취약하다고요. <br> <br>그런데 1300대를 철거하고는 예산이 없다며 단 100대만 다시 설치했습니다. <br> <br>나머지는 뭘로 감시할지 보안 공백이 걱정됩니다. <br> <br>이솔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방부는 지난 7월 11일, 전 군부대에 CCTV에 대한 전수조사를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가 입수한 국방부 공문에는 특정 회사가 납품한 CCTV가 있는지 확인한 뒤, 즉각 전원을 끄고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등 최단시간에 철거하라고 지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결과는 7월 25일까지 보고하라고 적었습니다.<br> <br>그 결과 CCTV 1300여 대가 정보유출 우려가 있는 걸로 확인돼 폐기됐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문제는 더 있었습니다. <br><br>채널A 취재 결과 폐기된 1300대 중, 새것으로 교체된 건 기존 재고량인 100여 대뿐. <br><br>1200대는 예산 문제로 새 걸로 교체되지 않은 겁니다. <br> <br>보안 공백이 우려되는 지점입니다. <br> <br>군은 폐기된 CCTV의 부품이 중국산인 사실을 모른 채 2014년부터 10년간 사용했습니다. <br> <br>심지어 30여 대는 전방을 주시하는 경계작전용이었던 걸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[허영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보안성 검토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식별해내지 못한 점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입니다. 보안성 검토 절차의 허술함이 그대로 드러나게 된 것이죠." <br> <br>군 관계자는 채널A에 "CCTV 껍데기만 국산이고 내부 부품은 중국산이었다"며 "CCTV 제조업체가 군을 속이고 납품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특히 민간과 달리 군에 납품한 CCTV에만 악성코드 노출 우려가 있는 중국 IP가 심어져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국방부가 처음 CCTV를 설치하는 데 들인 예산은 30여억 원, 향후 교체에 30여억 원이 추가로 들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